승우아빠의 멋진 육아, 여행, 맛집, 생활, 공부
[헌혈]헌혈이 몸에 나쁜가요? 헌혈에 대한 오해와 진실 본문
[헌혈]헌혈이 몸에 나쁜가요? 헌혈에 대한 오해와 진실
안녕하세요. 승우아빠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헌혈을 하면 몸이 나빠지는데 왜 하느냐고 합니다. 여러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헌혈에 대한 오해와 진실에 대해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헌혈 관련 이전 포스팅도 참고해주세요.
2018/12/10 - [헌혈 이벤트 당첨] 헌혈 이벤트 신청 방법 및 영화당첨후기 " 호두까기 인형과 4개의 왕국"
2018/12/10 - [헌혈] 헌혈의집 창원점 소개(운영시간,주차,편의시설,선물)
2018/12/11 - [헌혈] 헌혈예약방법(전자문진 및 스마트폰, 인터넷)
2018/12/11 - [헌혈]봉사활동시간 실적연계방법 및 봉사확인서 발급방법(VMS)
2018/12/12 - [헌혈] 헌혈이란?(적혈구,백혈구,혈장,혈소판), 헌혈의 종류, 전혈조건, 성분헌혈조건
2018/12/12 - [헌혈] 헌혈의 필요성, 헌혈 자격조건, 헌혈 혜택, 헌혈 후 주의사항, 헌혈 후 생길 수 있는 증상
2018/12/12 - [헌혈] 조혈모세포 기증 신청 방법, 절차 및 소개
2018/12/12 - [헌혈]ABO Friends 등록헌혈회원 및 나눔히어로즈 가입방법
2018/12/13 - [헌혈]헌혈결과 확인 방법 및 헌혈 후 알수 있는 검사 내용, 추가무료혈액검사
헌혈에 대한 오해와 진실
헌혈에 대한 오해들이 정말 많이 있습니다. 하나하나 읽어보시면서 헌혈에 대한 오해를 푸시고 진실을 아시면 헌혈 하실때 부담이 없으실겁니다.
![질문](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1.png)
![답변](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2.png)
![질문](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1.png)
![답변](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2.png)
![질문](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1.png)
![답변](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2.png)
![질문](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1.png)
![답변](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2.png)
![질문](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1.png)
![답변](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2.png)
![질문](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1.png)
![답변](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2.png)
![질문](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1.png)
![답변](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2.png)
![질문](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1.png)
![답변](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2.png)
에이즈검사도 하나요? 왜 검사를 통보해주지 않나요?
헌혈한 혈액은 혈액형검사, B형간염 항원검사, C형간염 항체검사, ALT검사, 매독항체검사, HIV검사를 실시하나 에이즈 검사를 목적으로 헌혈에 참여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에이즈(HIV) 검사결과는 통보해 주지 않는다. 각 구청 보건소에서는 개인의 비밀을 보장하면서 에이즈 검사를 실시한다.
![질문](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1.png)
![답변](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2.png)
![질문](https://www.bloodinfo.net/image/qna_icon01.png)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혈액사업에 대해 많은 오해를 가지고 있다. 가장 많은 오해가 바로 혈액을 병원에 공급하고 받는 혈액수가와 연관된 부분일 것이다. 대한적십자사는 혈액관리에 사용되는 재원을 혈액수가에만 의존하고 있으며, 국민들이 지로 형태로 납부하는 적십자회비와는 전혀 무관하다." 혈액수가는 혈액원의 인건비, 의료품비, 기념품비, 헌혈의 집 임대비등 운영비와 홍보비 등에 사용되며, 우리나라의 혈액수가는 일본, 미국 등 주요 OECD국가의 1/4 수준이다.
O형 피가 가장 많이 필요하다?
그렇다. 우리나라 사람에게 가장 많은 혈액형은 A형으로 전체 인구의 34%가 해당한다. O형과 B형은 각각 28, 27%를 차지한다. 하지만 가장 쓰임이 많아 귀한 혈액형은 O형이다. 현대 의학에서는 같은 혈액형을 수혈하는 걸 원칙으로 한다. 하지만 이론적으로 모든 혈액형에게 수혈할 수 있는 O형이 필요한 때가 있다. 기본 혈액형 검사를 할 시간이 없을 정도로 출혈이 심한 긴급환자가 있을 때나 혈액형이 확실하게 나타나지 않는 미숙아에게 수혈이 필요할 경우 등이 그런 예다.
헌혈한 피는 혈액은행에 두고 계속 쓸 수 있다?
아니다. 혈액에도 유통기한이 있다. 우리 몸속을 맹렬히 돌고 있는 혈액도 수명이 있다. 우리 몸을 쉬지 않고 돌고 또 도는 건강한 적혈구의 수명은 120일 정도다. 명을 다한 적혈구는 철분과 다른 성분으로 분해되고 골수에서 재활용된다. 하루에 전체 적혈구의 3%가 죽고 새로 만들어진다. 혈소판은 7일, 백혈구는 3~21일 정도다. 우리 몸 밖으로 나가면 혈액의 수명은 급속도로 줄어든다. 다행히 적혈구는 항응고제가 들어 있는 혈액백(blood bag) 속에서도 35일간을 버틴다. 하지만 한 번 헌혈한 혈액을 영구히 보존할 수 없는 만큼 지속적으로 헌혈하지 않으면 혈액은행은 텅 비게 되고 만다.
피의 백혈구 성분이 도움이 된다?
아니다. 백혈구는 인간의 면역 능력을 책임지지만, 다른 사람 몸에서 나온 백혈구는 적으로 여기고 공격하기 일쑤다. 헌혈한 피는 좁은 필터를 통해 백혈구를 분리하고, 걸러낸 백혈구는 폐기 처리 된다.
우리가 헌혈을 통해 수혈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적혈구 덕분이다. 성숙한 적혈구에는 조직적합성항원(HLA)이 없다. HLA의 일치율은 형제간이라도 25%, 남이라면 2만분의 1이므로, 적혈구에 HLA가 있다면 수혈은 쉽지 않을 것이다. 우리가 혈액형을 확인할 수 있는 것도 적혈구가 항체를 만나 응집하는 성질 덕분이다. 적혈구의 수명이 120일에 달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수혈된 뒤에도 적정 기간 동안 환자 몸에 산소를 공급하고, 수명을 다하면 사라져 환자가 스스로 적혈구를 생산할 수 있게 한다.
혈소판은 반드시 냉장 보관해야 한다?
아니다. 혈소판은 보관이 까다롭다. 냉장 보관을 하면 수혈 후 환자 몸에서 생존력이 떨어지므로 실온에서 보관한다. 그냥 실온에 두는 건 안 된다. 응고작용을 하는 혈소판은 평소에서도 늘 뭉치려는 성질이 있고, 한번 뭉치면 다시 떼어낼 수 없기 때문에 응고를 막기 위해 혈소판 부란기라는 장비를 이용해 계속 흔들어주어야 한다. 보관 용기도 특수하다. 표면에 공기가 통하도록 만들어진 특수용기를 사용한다. 게다가 혈소판의 유통기한이 단 5일에 불과하다. 그런데 그 중 36시간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검사하는데 쓰인다. 귀하고 귀하신 몸이다.
헌혈한 피는 모두 수혈에 사용된다?
아니다. 혈장 성분은 주로 의약품 제조에 쓰인다. 혈장은 알부민, 크라이오, 감마글로불린을 제조하는데 쓰인다. 알부민은 혈액순환기능, 크라이오는 혈우병 치료제, 감마글로불린은 수두, 파상풍 치료제로 쓰인다. 헌혈에 적합지 않아 폐기되는 부적격 혈액은 전체의 4% 정도인데 이중 일부는 연구 개발에 사용되기도 한다.
헌혈한 피가 곧장 수혈에 사용되는 것도 아니다. 피는 4개의 검체로 나뉘어져 B형 간염, C형 간염, 성인 림프구성 백혈병 바이러스(HTLV), 에이즈, 말라리아와 간기능 검사를 거치고 ABO혈액형과 Rh 혈액형 검사를 마친 뒤에야 적합 판정을 받게 된다.
사람도 오해를 하게되면 그냥 그사람이 밉게보입니다. 헌혈도 오해를 하게 되면 무조건 안좋은것이라는 인식을 하게 됩니다. 이런 오해를 푸시고 헌혈를 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승우아빠였습니다.
'나는 할 수 있다! > 헌혈의 모든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혈] 조혈모세포 기증 신청 방법, 절차 및 소개 (0) | 2018.12.12 |
---|---|
[헌혈]ABO Friends 등록헌혈회원 및 나눔히어로즈 가입방법 (0) | 2018.12.12 |
[헌혈] 헌혈의 필요성, 헌혈 자격조건, 헌혈 혜택, 헌혈 후 주의사항, 헌혈 후 생길 수 있는 증상 (0) | 2018.12.12 |
[헌혈] 헌혈이란?(적혈구,백혈구,혈장,혈소판), 헌혈의 종류, 전혈조건, 성분헌혈조건 (0) | 2018.12.12 |
[헌혈]봉사활동시간 실적연계방법 및 봉사확인서 발급방법(VMS) (0) | 2018.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