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우아빠의 멋진 육아, 여행, 맛집, 생활, 공부
서평, 책소개 - 혼자서 시작하는 자산관리 입문서, 이혜나 지음, 영진미디어 본문
서평, 책소개 - 혼자서 시작하는 자산관리 입문서, 이혜나 지음, 영진미디어
- 지은이 : 이혜나
- 페이지 : 172쪽
- 가 격 : 14,800원
책소개
은행에서 가입한 적금으로만 자산관리를 하고 있다면, 이 책을 반드시 읽어야 한다.
낮은 금리 탓에 적금으로 자산을 증식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재테크에 한 번쯤 도전하고 싶은 이에게 재테크가 왜 필요한지, 어떠한 방법을 활용해야 나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지를 꼼꼼하게 안내한다. 입문자에게는 투자 대상을 하나만 집중적으로 공략하기보다는 재테크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혼자서 시작하는 자산관리 입문서』에서는 저축, 주식, 펀드, 연금, 보험을 함께 다룬다.
각 금융상품의 기본 개념부터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팁은 무엇인지, 더 나아가 응용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세세히 알려준다.
금융초보자가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뜬소문만 듣고 투자하는 것이다. 하지만 분석 없이, 빚을 내서, 자기 확신이 없는 투자는 재테크를 시도하지 않는 것보다 못하다.
이 책과 함께 자신의 상황에 맞는 투자 방법을 살펴보고 점차 돈을 불려 돈의 주인이 되는 방법을 알아보자. 자산관리사인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자산을 어떻게 저축하고, 어떻게 하면 실패하지 않는 투자를 할 수 있는지 저자만의 건전한 투자 노하우를 공유한다.
지은이 소개 - 이혜나
프롬어스 자산관리센터의 사내이사로 재직 중이며 현재 자산관리사로 8년째 고객과 소통하며 일하고 있다. 서울과 부산을 오가며 다수의 재테크 강의를 진행했고, 금융사에 재직하며 쌓아온 경험을 통해 투자를 어려워하는 대중들에게 보다 쉬운 경제(금융) 알리기에 앞서고 있다.
책 속의 한 줄
CMA통장은 은행의 입출금통장인 보통예금통장과 견줄 수 있다. 두 통장은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통장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나 이율 적용 방식에 따라 차이점이 있다. 대게 급여통장으로 활용하는 은행의 입출금통장은 상품에 따라 분기별, 반기별 평균 잔고의 0.1% 내외 이율이 가산된다.
가끔 입출금내역을 확인하다 ‘결산이자’라고 하여 소액의 금액이 입금된 것을 확인한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CMA통장의 경우 CMA 내에도 투자 대상과 상품 구조에 따라 RP, MMF, MMW형으로 나뉘지만 적립된 금액에 대해서 매일 매일 이자가 붙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즉, CMA는 매일 이자가 붙는 통장으로 RP형의 경우 1년 이자율을 365일로 나눈 수치가 예치된 금액에 확정 금리로 적용 이자가 가산되는 통장이다. / 50쪽 ‘투자의 허브 CMA통장
주식은 한 가지 기업을 선택해서 그 기업의 주주로서 그 기업의 가치에 직접 투자하는 행위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의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하며, 펀드는 특정 주제에 의해 분류된 그룹으로 표현할 수 있다. 말 그대로 펀드는 펀드매니저가 특정 카테고리를 정하고, 그 카테고리에 적합한 대상들만 모아놓은 집합체이다. 예를 들어 ‘국내 헬스케어펀드’라고 하면 ‘셀트리온’이라는 한 가지 기업에 투자하는 주식과는 달리 국내에 상장한 제약, 바이오 등 펀드가 투자하는 기업 전반(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종근당, 녹십자, 한미약품 등)에 투자하는 금융상품이다. / 91쪽 ‘적금 대신 펀드하세요’
책 후기 및 서평
다들 자산관리는 잘하고 있을까? 나도 나름 나만의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 잘하고 있는 건지 못하고 있는 건지 매달 정산해보면서 한 달을 마무리하고 있다.
나도 돈이 많으면 개별적으로 나만의 자산관리설을 영입해서 같이 의논하면서 나의 자산을 키우고 싶다. 하지만 아직 까지는 햇병아리 이기 때문에 내가 하나씩 배우면서 나아가야 한다. 이 책은 혼자서 시작하면서 어떤 부분에 한 걸음씩 나아가야 하는지 알려주고 있다.
먼저 재테크를 꼭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나는 재테크를 왜 하는 건가? 다들 물어보면 똑같은 대답을 할 것이다. 돈을 벌기 위해서! 노후를 위해서, 여행을 가기 위해서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어느 꿈이든 된다. 자기가 재테크를 하는 명확한 이유를 세우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나아가야 한다. 하루에 이루어질 수 없다. 남들처럼 벼락부자가 되는 것도 희박하다. 최종 목표를 위해 우리가 한 걸음씩 나아가야 한다.
[차 례]
프롤로그
PART 1. 재테크, 꼭 해야 하나요?
투자의 불편한 진실
돈의 주인으로 살아가는 방법
재테크의 최종 목표
PART 2. 투자를 위한 종잣돈 형성하기
제로금리 시대, 적금 굳이 해야 할까
주택청약종합저축통장 100% 활용하기
투자의 허브 CMA통장
급부상하는 비과세 만능통장 ISA, 개인종합자산관리 계좌
PART 3. 주식, 나도 시작해 볼까?
주식 투자에 실패하는 이유
기업 선정보다 중요한 산업 탐색
투자 전 반드시 참고해야 할 재무제표
기업에 대한 관심 신호, 거래량
첫 주식 투자가 무섭다면 공모주 청약 노리기
주식 투자 ETF로 시작하라
쉽게 알아보는 주식 용어
PART 4. 적금 대신 펀드하세요
펀드 선택의 참조지표
펀드명만 알아도 펀드를 알 수 있다
쉽게 알아보는 펀드 용어
달러나 금에 투자하고 싶다면?
PART 5. 재테크 최종 종착지, 연금
어렵지 않은 연금, 지금부터 시작하기
퇴직연금 100% 활용하기
세제적격과 세제비적격 연금의 구분
변액보험 활용 가이드
주택연금은 필요할까?
그렇다면 연금은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PART 6. 나의 자산을 지키는 유일한 금융상품, 보장자산
똑부러지는 보험 용어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의 차이가 무엇일까?
보험은 어떻게 생겼을까?
3대 진단비 보험은 필수
실손의료비와 소득 부재를 보완하는 수술비와 입원
기타 알아두면 좋은 보험
갱신형과 비갱신형
목표를 세웠으면 그다음에는 무엇을 해야 할까? 투자를 위한 종잣돈을 형성해야 한다. 마음가짐도 잡았고 이제 시작만 하면 되는데 돈이 없으면 할 수 없다. 제로금리 시대 에서 적금이 꼭 필요한 건지? CMA 통장, 주택청약통장, 요즘 뜨고 있는 ISA 통장까지 종잣돈을 만들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들을 잘 알려주고 있다. 나 또한 이번에 ISA 통장을 개설하기 위해 한둘씩 알아보고 있다.
돈을 모았으면 이제 본격적인 게임의 시작이다. 투자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주식, 펀드 등 자기의 성향에 맞게 투자를 정해 진행하면 된다. 나는 현재 주식을 하고 있다.
주식을 해도 단기투자 인지, 장기 투자 인지 투자 신념을 잡아야 한다. 여기가 제일 중요하다. 만약 이거 해볼까 저거 해볼까 하면 아무것도 되지 않는다. 수익이 나면 몇 퍼센트에서 찾고, 손실이 나면 어디서 빼내는지가 중요하다. 이것만 잘해도 투자의 반은 성공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책에서는 연금과 보장자산, 보험에 관해 설명을 해주고 있다.
아무리 건강해도 아프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그러는 데 필요한 필수 보험 및 나의 보장자산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을 하게 한다. 나도 보험과 보장자산이 있지만, 무엇보다도 내 건강을 챙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혼자서도 할 수 있는 자산 입문서를 통해 한 번 더 투자에 대해 마음을 가다듬게 되었다. 투자는 평생 해야 하고 투자 공부도 평생 해야 한다. 우리 모두 부자가 돼서 하고 싶은 것을 마음껏 누리는 그날까지 성공 투자 하시기 바란다.

'나는 할 수 있다! > 책 같이 봐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평, 책소개 - 용돈 교육은 처음이지?, 고경애 지음, 최선율 그림, 한국경제신문 (104) | 2023.02.25 |
---|---|
서평, 책소개 - 어른이 되기 전에 꼭 한 번은 논어를 읽어라, 판덩 지음, 하은지 옮김, 미디어 숲 (108) | 2023.02.19 |
서평, 책 소개 - 반값 보험료 만들기 프로젝트, 황금부엉이, 장명훈지음 (106) | 2023.02.12 |
서평, 책 소개 - 나도 모르는 내 마음의 심리법칙, 야오야오 지음, 김진아 옮김 (82) | 2023.02.11 |
서평, 책소개 - 재테크는 모르지만 부자로 키우고 싶어 - 토리텔러 지음, 동양북스- (106) | 2023.02.01 |